하도급 계약서 작성 방법 및 예시
1. 하도급 계약이란?
하도급 계약은 원사업자가 일정 부분의 공사 또는 용역을 다른 사업자(하도급업체)에게 맡기는 계약을 의미합니다. 이는 건설업, 제조업, 용역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, 공정한 계약 체결이 중요합니다.
2. 하도급 계약서 작성 방법
하도급 계약서를 작성할 때 반드시 포함해야 할 주요 항목은 다음과 같습니다.
항목 | 설명 |
---|---|
계약 당사자 정보 | 원사업자 및 하도급업체의 명칭, 대표자 성명, 사업자등록번호 등을 기재 |
계약 목적 및 범위 | 공사 또는 용역의 종류, 규모, 요구사항 명시 |
계약 금액 및 지급 조건 | 대금 지급 방식, 연체 시 지연이자 조항 포함 |
공사 기간 및 지연 책임 | 공사 시작일, 완료일, 지체상금 규정 |
하자보수 및 보증 | 보수 책임 기간 및 비용 부담 주체 명시 |
계약 해지 및 위약금 | 계약 위반 시 해지 조건 및 손해배상 규정 |
분쟁 해결 방법 | 조정, 중재, 소송 관할 법원 명시 |
3. 보완된 하도급 계약서 예시
건설 공사 하도급 계약서
제 1 조 (목적)
본 계약은 원사업자(이하 '갑')와 하도급업체(이하 '을') 간의 건설 공사 수행을 위한 계약으로, 상호 신뢰를 바탕으로 공사의 원활한 진행을 보장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.
제 2 조 (공사 내용 및 범위)
'갑'은 '을'에게 아래와 같은 공사를 하도급합니다.
- 공사명: ○○○ 건설 공사
- 공사 위치: ○○○
- 공사 범위: ○○○ (설계도서 기준)
제 3 조 (공사 기간)
착공일: 202X년 X월 X일
준공일: 202X년 X월 X일
제 4 조 (대금 지급)
- 총 계약금액: 1,000,000,000원 (부가세 포함)
- 지급 방식:
- 선급금: 30%
- 중도금: 40% (진행률 50% 달성 시)
- 잔금: 30% (공사 완료 및 검수 후)
제 5 조 (하자 보수 및 보증)
'을'은 공사 완료 후 1년간 하자 발생 시 무상 보수를 시행해야 합니다.
제 6 조 (계약 해지)
'갑'은 '을'이 계약을 위반할 경우, 14일 내 시정을 요구하며, 시정되지 않을 시 계약을 해지할 수 있습니다.
4. 마무리
하도급 계약서는 법적 분쟁을 방지하고 공정한 거래를 위해 필수적으로 작성해야 합니다. 계약서 작성 시 필수 항목을 빠짐없이 포함하고, 법률 전문가의 검토를 받는 것이 바람직합니다.